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

低山 2020. 3. 8. 05:34




 권토중래(捲土重來)



   

   <題烏江亭(제오강정)> 두목(杜牧, 803~852)


   勝敗兵家不可期(승패병가불가기)  승패는 병가도 기약할 수 없으니,

   包羞忍恥是男兒(포수인치시남아)  분함을 참고 욕됨을 이기는 것이 사나이라.

   江東子弟俊才多(강동자재준재다)  강동의 자재 중에는 준재가 많으니,

   捲土重來未可知(권토중래미가지)  흙먼지 날리며 돌아올 날을 알 수 없구나.



 이 시(詩)에서 “흙먼지를 일으키며 다시 쳐들어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失敗)한 사람이 세력(勢力)을 회복(回復)해 다시 도전(挑戰)해 온다는 의미(意味)의 권토중래(捲土重來)라는 고사성어(故事成語)가 생겨났습니다.


 오강(烏江)은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 B.C.232~202)가 스스로 목을 쳐서 자결(自決)한 곳입니다. 한왕(漢王) 유방(劉邦)과 해하(垓下)에서 펼친 ‘운명(運命)을 건 한판 승부(勝負)에서 패(敗)한 항우는 오강으로 도망(逃亡)가 정장(亭長)으로부터 “강동(江東, 양자강 이남의 땅)으로 돌아가 재기(再起)하라.”는 권유(勸誘)를 받았지만 항우는 “8년 전 강동의 8,000여 자제(子弟)와 함께 떠난 내가 지금 혼자 무슨 면목(面目)으로 강을 건너 강동으로 돌아가 강동의 부형(父兄)을 대할 것인가?”라며 파란만장(波瀾萬丈)한 31년의 생애(生涯)를 마쳤던 것입니다.


 항우가 죽은지 1,000여년이 지난 어느 날, 두목은 오강의 객사(客舍)에서 일세(一世)의 풍운아(風雲兒), 단순(單純)하고 격(激)한 성격(性格)의 항우,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의 항우, 사면초가(四面楚歌)속에서 애인(愛人) 우미인(虞美人)과 헤어질 때 보여준 인간적(人間的)인 매력(魅力)도 있는 항우를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강동의 부형에 대한 부끄러움을 참으면, 강동은 준재(俊才)가 많은 곳이므로 권토중래(捲土重來)할 수 있는 기회(機會)가 있었을텐데도 그렇게 하지 않고 31세의 젊은 나이로 자결(自決)한 항우를 애석(哀惜)하게 여기며 두목(杜牧)은 이 시(詩)를 읊었습니다. 이 시(詩)는 항우(項羽)를 읊은 시(詩)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입니다.

 

 

        [출전] <十八史略, 史記 越世家>        (네이버 백과사전을 참조 작성하였습니다.)

 

 

 

                                                                   - 끝 -

 

 

 

                             


                             
 
 

                             


                             

                              


                              

                                                                 이미지 출처 - 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