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 !! 수리부엉이 시리즈
1. 둥지 밖 절벽 풀숲에서 쉬고 있는 아빠 수리부엉이
2017년 5월 7일.. 양양 낙산사
2. 둥지에서 아가들 보살피는 엄마 수리부엉이
2017년 5월 7일.. 양양 낙산사
3. 이미 둥지를 떠나 이소(離巢)한 장남 수동이
2017년 5월 7일.. 양양 낙산사
4. 곧 둥지를 떠날 것 같은 차남 수돌이
2017년 5월 7일.. 양양 낙산사
5. 다 자란 삼남 수영이, 고명딸 수옥이
2017년 5월 7일.. 양양 낙산사
6. 과연 이 먹이의 정체는 ?? 궁금합니다 !!
2017년 5월 7일.. 양양 낙산사
7. 아직 이소(離巢)안한 세 아가들에게 육추(育雛)하는 엄마 수리부엉이
2017년 5월 7일.. 양양 낙산사
10. 천하명당 !! 수리부엉이 보금자리
2017년 5월 7일.. 양양 낙산사
9. 우리는 형제 !!
2018년 3월 28일.. 화성 왕모대
3. 더 성장하고 활발해진 움직임.. 수리부엉이 아가 형제
2018년 4월 2일 오후.. 화성 왕모대
육추(育雛) : 새가 알에서 부화한 새끼를 먹이를 먹여 키우는 것.
이소(離巢) : 다자란 새끼 새가 둥지를 떠나는 것.
수리부엉이 [야생조류 필드가이드]
서식
시베리아 북부 지역과 캄차카반도를 제외하고 유라시아대륙 전역과 아프리카 북부, 사할린에 분포한다. 울릉도, 흑산도 등 일부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도서 지역을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서식하는 흔하지 않은 텃새다. 섬보다는 내륙에서 서식밀도가 높다.
행동
암벽이 많은 산림에 서식한다. 야행성으로 밤에 활동하며 번식기에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활동한다. 꿩, 토끼, 다람쥐, 쥐, 곤충, 양서류, 파충류 등을 잡는다. 둥지는 바위산의 암벽 아래에 만드는 경우가 많지만, 앞이 트이고 경사가 조금 있는 인가 주변 낮은 산림의 지면을 오목하게 파 만드는 경우도 있다. 2월에 흰색 알을 2~3개 낳으며 포란기간은 36~37일이다. 수컷은 둥지 지키는 일과 먹이공급을 한다. 보통 둥지 인근에 펠릿이 많이 흩어져 있다.
특징
국내에 서식하는 올빼미과 조류 중 가장 크다. 긴 갈색 귀깃이 있으며 홍채는 노란색이다. 전체적으로 갈색에 검은색 세로 줄무늬와 가로 줄무늬가 복잡하다. 얼굴은 갈색이며 가늘고 검은 털이 동심원 또는 방사형으로 나 있다. 날개는 폭이 넓다. 꼬리는 갈색이며 약간 짧다.
아종
지리적으로 16 또는 17아종으로 나눈다. 아종 kiautschensis는 한국, 중국 간쑤성 남부에서 산둥성, 남쪽으로 쓰촨성, 윈난성, 광둥성 일대에 분포한다.
실태
천연기념물 324-2호다.
Yanni Tribute(찬사)
'추억 !! 조류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억 !! 흰눈썹뜸부기 시리즈 1 - 6 (0) | 2019.07.28 |
---|---|
추억 !! 물꿩 시리즈 1 - 3 (0) | 2019.07.28 |
추억 !! 들꿩 시리즈 1 - 7 (0) | 2019.07.28 |
추억 !! 청도요 시리즈 1 - 7 (0) | 2019.07.27 |
추억 !! 파랑새 시리즈 (0) | 2019.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