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 !! 조류 시리즈

추억 !! 찌르레기 시리즈 B 1 - 3

低山 2021. 12. 21. 00:49

추억 !! 찌르레기 시리즈

 

 

B. 2019년 찌르레기 육추(育雛) 시리즈

 

 

1. 엄마, 아빠 동시교대 육추(育雛) !!

 

 

2019년 5월 17일.. 조정경기장

 

 

 

 

 

 

 

 

 

 

 

 

 

 

 

 

 

 

 

 

 

 

 

 

 

 

 

 

 

 

 

 

 

 

 

 

 

 

 

 

 

 

 

 

 

 

 

 

 

 

 

 

 

 

 

 

 

 

 

 

 

 

 

 

 

 

 

 

 

 

2. 초상권 침해 !! 아빠 찌르레기

 

 

 

2019년 5월 20일.. 조정경기장

 

 

 

 

 

 

 

 

 

 

 

3. 열매 먹이고 응가 치우는 엄마 찌르레기

 

 

 

2019년 5월 20일.. 조정경기장

 

 

 

 

 

 

 

 

 

 

 

 

 

 

 

 

 

 

 

 

 

 

 

 

 

 

 

 

 

 

 

 

 

 

 

 

 

 

 

 

육추(育雛) : 새가 알에서 부화한 새끼를 먹이를 먹여 키우는 것.

 

이소(離巢) : 다자란 새끼 새가 둥지를 떠나는 것.

 

 

찌르레기 - 몸길이 약 24cm이다. 눈 주위가 희고 머리·멱·가슴은 짙은 회색이다. 아랫면은 회색이고 배는 흰색, 부리는 오렌지색, 다리는 흐린 오렌지색이다. 부리 끝은 검다. 한국에서는 전국에 번식하는 흔한 여름새이나 중부 이남에서는 일부가 겨울을 나기도 한다. 도시공원·정원·농경지·구릉·산기슭 등 도처에서 번식하며 떼를 지어 다닌다. 번식기에는 암수가 함께 살고 그 밖의 시기에는 대개 무리지어 산다. 큰 나무 위나 대나무 숲을 잠자리로 하며 저녁 때와 아침 일찍 먹이를 찾으러 떠나기 전에 시끄럽게 운다. 논과 밭에 가로질러 놓인 전선에 여러 마리가 한줄로 앉아 쉰다. 날 때는 날개를 빠른 속도로 움직여 직선으로 날지만 여러 마리가 함께 날 때는 어지럽게 뒤엉키듯이 난다. 땅 위에 내려앉을 때는 몇 번 원을 그리며 맴돌다가 미끄러지듯이 내려앉는다.

3월 하순~7월, 특히 4∼5월에 한배에 4∼9개의 알을 낳아 암수 함께 품고 품은 지 9∼10일이면 부화한다. 먹이는 잡식성이다. 동물성으로는 개구리·연체동물·쥐·곤충 따위를 잡아먹고 식물성으로는 밀·보리·완두·과실 등을 먹는다. 시베리아·사할린섬·쿠릴열도·아무르·우수리·중국(동북부)·몽골 등지에서 번식하고 한국·일본·타이완·중국(남부)·인도차이나·미얀마 등지에서 겨울을 난다. 라고 두산 백과사전에 나와 있습니다.

 

 

 

자주가는 까페

 

아래 주소 클릭

 

국제특공무술연합회

www.tgms.or.kr/

http://blog.naver.com/itgms/

유튜브 (YouTube) NoWon Park.

 

송파드럼동호회 유튜브

송파 드럼동호회 실버 (공개)

 

남한산성자연사랑

 

얕으막한 산, 저산카페 이동

 

SUANBO LIONS CL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