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 !! 검은머리물떼새 시리즈 A 1 - 4
A. 2016년 영종도 검은머리물떼새 시리즈
1. 검은머리물떼새 암, 수 한쌍
2016년 6월 2일 오후.. 영종도
2. 애꾸눈(왼쪽눈 실명) 검은머리물떼새
2016년 6울 2일 오후.. 영종도
3, 영종도 갯벌의 승리 !! 검은머리물떼새 한 쌍
2016년 6월 11일 오후.. 영종도
4. 비오는 날 영종도 갯벌 검은머리물떼새 두 쌍 총출동 !!
2016년 6월 15일 오후.. 영종도
검은머리물떼새 - 몸크기 42-45cm, 머리·목·등·꼬리 끝 등 상체는 검은 색이나, 배·다리 그리고 날개의 절반은 흰색이다. 해안이나 하구의 갯벌에서, 조개류, 작은 새우, 작은 물고기, 곤충 등, 동물성만 취식한다. 알은 한배에 2~3개 낳는다. 한반도에서 검은머리물떼새가 번식한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진 것은 1917년 4월의 일로, 일본인 조류학자에 의해서였다.
그는 전라남도 영산강 하구에서 2개의 알을 발견하였다. 그후 1973년과 1974년의 6월, 강화도 삼산면 매음리 보문사 앞바다 대송도(大松島)란 작은 무인도에서, 우리나라에서 2번째와 3번째로 바위 위에 산란한 알 2~3개가 확인되었다(원병오). 이에 따라 검은머리물떼새가 우리나라에서도 드물게나마 번식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로부터 북쪽으로 강화도 삼산면 휴전선 부근 괴리섬에서 남쪽으로 신안군 앞바다에 이르기까지 서해안 무인도서에서 150마리 내외의 작은 집단이 해마다 번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어왔다.
한편 동북아 북쪽의 번식집단과 소련과 중국 동북지방에서 번식한 무리는 한반도의 서해안·군산 외항에서 겨울을 난다. 800여 마리나 되는 큰 월동무리가 관찰된 예도 있다. 겨울철에 서해안, 낙동강 하구, 내륙 물가에서도 간혹 1~2마리가 눈에 띄나, 여름에는 매우 한정된 해안과 무인도서에서나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천연기념물 제326호로 지정하여(1982. 11. 4) 보호하고 있다. 라고 Daum 백과사전에 나와 있습니다.
자주가는 까페
아래 주소 클릭
국제특공무술연합회
SUANBO LIONS CLUB
'추억 !! 조류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억 !! 검은어깨매 시리즈 1 - 5 (0) | 2021.07.11 |
---|---|
추억 !! 검은머리물떼새 시리즈 B 1, 2 (0) | 2021.07.10 |
추억 !! 붉은배새매 시리즈 A 8 - 10 (0) | 2021.07.08 |
추억 !! 붉은배새매 시리즈 A 6, 7 (0) | 2021.07.07 |
추억 !! 붉은배새매 시리즈 A 3 - 5 (0) | 2021.07.06 |